분류 전체보기7715 조금은 괜찮은 시각적인 지배를 위해서 보통은 논문을 쓰기 어렵고, 천편 붕어빵이 되는 것은, 아우트라인을 그리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우리들의 감각이 테두리 습관이 없고, 명사형으로의 재진술이 불분명하고, 시적인 통치로의 공간비행이 평범한 사람의 인격으로서는 조금은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그것만 잘 이루어진.. 2012. 11. 4. 의식의 지향성과 도시인의 그리고 시골 사람들의 형이상학적 불빛들 의식의 지향성과 도시인의 그리고 시골 사람들의 형이상학적 불빛들 나는 18세기 풍자문학과 소설의 탄생에 관한 영문학 논문을 쓰고, 학보에서 상을 받았다. 그 젊은 나이에, 무엇 한다고 썼을까? 뭔지 우습고, 여름에 노력하는 북한 사람들의 생산 투쟁 같은 것이었을까? 영문학과에는 .. 2012. 11. 4. 우리는 상징 없이 살 수 없는 심볼리즘들인가? 우리는 상징 없이 살 수 없는 심볼리즘들인가? 한동안 나주 막걸리가 유명했다. 그것은 지리적이기도 하다. 사람들이 서양 우월주의, 혁명 과학주의를 치달을 무렵, 나주는 국밥과 막걸리가 유명하였다. 그것을 어떻게 아느냐? 내가 소설을 써볼라고 했기 때문에, 심볼리즘? 아는 것이다. .. 2012. 11. 4. 불쌍한 아렌트 이야기: 아무런 군사도 필요 없는 감각의 자연 상태 불쌍한 아렌트 이야기: 아무런 군사도 필요 없는 감각의 자연 상태 이런저런 책들을 지금도 읽고 있지만, 어제 읽었다. 아렌트의 예루살렘의 아이빙거? 하나는 자끄 라깡 입문, 다른 하나는 프레드릭 제임슨의 다른 한길로로로 책이다. 내 몸이 검강해졌는지, 상대의 불쌍함이 보인다. 장.. 2012. 11. 3. 이전 1 ··· 1867 1868 1869 1870 1871 1872 1873 ··· 19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