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말을 함부로 할 수 없다. 왜냐하면
공자님이 말씀하셨다. 교육의 으뜸은 인성 교육이고, 인성고시원? 그것의 으뜸은 음악 교육이라고. 산소고시원? 그러나 그 말씀을 어디서 하셨는지는 기억이 나지 않는다. 기억은, 지금 초미의 관심이다. 나는 태초를 기억하고 있고, 사람들은 그것을 공감각의 능력으로써 현재와 과거를 동시에 바라보고 있다. 우리는 우리의 정신을, 청소년들에게 빼앗길까봐, 서양의 정신만을 우월주의로 여길까봐 노심초사 했던 적이 있었다. 그것은 어떻게 하다보니, 일본과 중국이 동시성적이었다. 그러나, 내가 앞으로만 걸어서, 제자리에 돌아오게 된 후로는, 일본과 중국을 생각하면서, 따라 세계 전부와 특히 서양이 함께 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그러나 우리의 정신이 서양에 빼앗기는 것을 염려했을 뿐, 그들의 가난한 처지가 조용히 의탁해 들어오는 것을 반길 리는 없는 것이다. 우리가 먼저 힘이 들어서이기도 하고, 한동안 믿을 수 없는 것이기도 하며, 다만 머뭇거리는 촌음 같은 시간도 그들에게 아픔을 주고, 세계의 운동에 누가 될까 태도와 마음을 다시잡게 되는 것이다. 우리는. 이 말은 까트린느와 비슷하다. 프랑소와는 프랑스와와 같다. 도이치는 다소 촌놈 같을 지라도이다. 그것의 에이도스는 무엇을 듣는 이어폰인가? 정말 오이씨디가 있는 것인가? 멜론 같은? 잉글랜드는 사람들이 다소 빙글빙글 안으로만 회피할지라도 이다. 올도우. 모두가 밀가루의 도우 같을 지라도. 이 모든 것은, 고싸움의 배 언저리에서, 청년과 인덕과 우연으로 장수가 된 사람이 하나님을 찾는 우리 칠석의 전통 놀이의 깊은 심리이다. 전쟁의 신을 찾는 말이기도 하지만, 문명을 기도하는 말이기도 하며, 적들의 과도한 고통을 두고 회귀하는 휴메니티이기도 하다. 나는 기본적으로 이성주의자이다. 이태리의 듀카티는 듀카티즘. 그것들의 절묘한 문자 디자인은, 주인이나 주인공이 어디에 가 있던지, 티지 않게, 이중의 계단이나 기둥이 있는 것처럼, 보호를 받고 싶고, 하늘로부터의 은밀한 교육을 받고 싶고, 사람들과 덩달아 안정적인 주목을 받고 싶다는 의지가 있는 것이다. 거의 대부분의 오토바이 디자인이, 하나하나 따지면 전부 듀카티즘이 되지만, 초절정의 자기 죽음의 이성주의를 야마하 워리어 제목과 함께 오분 동안을 내비치지만, 양식적 믿음주의에 대개의 디자이너들은 빠지게 되어 있다. 그러니 철제와 엔진은 디자인과 많은 부분에서 어긋나 있고, 그들이 같은 시간 속에서 있는 것처럼, 고대 그리스의 엘레야 학파 사람들처럼 우리는 여기는 잘못을 저지르는 것일 것이다. 그것을 구분하여, 마음을 완전히 철제하게 하는 것은 분명 많은 시간이 지난 뒤의 일이다. 듀카티즘은, 오래가지 못한다. 그 말 또한 듀카티즘에 담겨 있다. 우리는 해외 투어를 가지 않아도, 마음은 가게 되는데, 무시할 수 없는 진동은 고속에서의 항진성과 장시간의 컨디션을 분명 저해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다시금 우리는 일제로 온다. 듀카티즘을 아무런 속성적 부정확성을 비판당하지 않고 타려고 한다면, 많은 것을 내려놓아야 한다. 그것은 이태리를, 발음상의 동질성 같은 디자인과 발랄함, 가벼움과 신속함, 그런 것들을 내려놓아야 한다. 발랄함과 활달함이라는 것은, 정신의 양대 산맥, 이성에도 속하지 않고, 신앙에도 속하지 않는다. 그것은 속성 중의 속성이며, 석양이 해가 완전히 진 뒤에도 남아 있는 미명의 시간 속에서, 제법 넓은 조개의 무지개 빛이 야광 같기도 하게 김영랑 하면, 아직 부산 친구의 한 장면처럼, 한국 말로서 대화가 오가는 영화 속의 어둠 장면에서, 네 아버지 뭐 하시니? 네 아버지 뭐 하시냔 말이다. 누군가 어쩔 수 없이 헤게인 사람이 묻는데, 여자인 듯도 하고, 장난인 듯도 한, 그것은 또한 보이지 않는데, 상정하는 대상성 안에서, 자기 친구인 듯한 사람에게? 사람도 아닌 설정에게 베르또 뭐라는 거니? 베르또? 하면서 오분도 채 되지 않는 문명으로 사라지는 것과 같다. 셰익스피어는, 그가 이와 같은 조개지리학을 전부 꾀차고 있었대도 그렇고, 아닌 사람으로서 어마어마한 일을 한 것이다. 매우 다른 각도에서 보면, 오가는 대화가, 굉장히 사납고, 청년들은 사가지가 없으며, 여자들은 뚱명스럽다. 이태리 베로나를 배경으로. 그것의 그림과, 그것의 역사책과, 그것의 풍경과, 그것의 카톨리시즘적인 유산이 지대해서, 우리는 아무런 말도 곧이 곧대로 듣지 않는다. 정말 따로따로 문장들을 보면, 번역도 거의 그대로 하다보면, 사납고, 거칠며, 외부의 목적을 향해 나아가는 단순한 전차 같다. 어떻게 최근에 로미오엔 줄리엣을 인터넷으로 보고는 이런 생각을 즉각적으로 무기 삼는지, 나로서도 다소 창피하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듀카티즘이 셰익스피어의 아버지가 없는 청소년들의 대충 군자 근처에서의 히스테리를 그렇게도 잘 담아내는지, 담아내려고 한 것은 아닐지라도, 그러는지, 목적지를 종이로 만드는 대신에, 내가 하는 말처럼, 돌을 던져 파문의 한 중앙에 들어가기 하기와 완전 들어맞는 지 모르겠다.
한국어는 모든 문학이, 특히 지하실, 지하실로 내려가, 현대의 사물들이 서로 부딪히며, 여자들과 물건에 약한 남자들을 먼저 화상을 입히는 시간 속에서, 늘 새롭게 부상하는 한국어인 것 같다. 성경에 보면, 예수님 말씀에, 주여주여 말로만 떠드는 자는 천국에 가지 못하며, 오직 믿음과 행실로써 갈 것이다 하는 대목이 있다. 그러나 따로 보면, 동시대의 구약적 문헌 조건에서의 주는 모세의 하나님인가? 아니면 이사야 같은 신과 같은 반열의 예언자인가? 아니면 위대한 모세인가? 미켈란젤로의 앉아 있는 모세상을 보면, 머리와 수염은 웨이브 파마를 하고 있고, 몸과 팔 사이에는 십계명이 얇은 책을 간수하 듯이 놓여져 있다. 그리고 딴 데를 보고 있다. 이태리의 이성과 신앙. 독일의 이성과 신앙이 교차하는 지점이기도 하다. 이태리는 활달한 개인기들과 문장력들을 갖고 있다. 사람은 본시 신앙적이기도 하다. 그들이 개인적인 순수한 이성을 갖고 성경을 보다 보면, 점점 더 엔니오 모리꼬네의 오에스티에 빠지게 되어 있다. 예수님이 주여주여 하는 자마다 다 천국에 가는 것이 아니다는 말은, 매우 철학적이지만 실제 현실 권력 왕의 삼인칭에 적합한 것이다. 그리고 모든 이들의 복지를 구한다는 것은, 불교의 이상에 가깝다. 철학은 유한자이며, 일반성이며, 지극한 보편 이성이다. 권력은, 불교 탱화 같은 기쁨으로서, 마음이 늘 반쯤 욕 같은 쌍계사 같은 것이다. 철학적으로 다그치다가, 신앙도 아니고, 복지도 아닌, 복지예산의 한정자산 경상수지로 빠지는 지경인 셈이다. 지식경제부. 얼마나 독일의 철학과 종교 철학에 관한 서적이 아름다운지 모른다. 그것의 전통은 하이데거에까지 면면이 내려오는 일이다. 일본어로 시고토. 시니피에가 프랑스 철학들로 갈피를 못잡는다면, 그것은 결코 당연한 일도 아니고, 당연하지 않는 일도 아닌데, 독일 철학의 일진과 이진들의 서적을 읽는 것이 낫다. 대학 다닐 때 경험한 것처럼, 자끄 라캉마저도, 독일 철학자의 정리적 도움을 받는다. 거의 모든 고전은 본문에서 본질이 드러나는데, 프랑스 철학 만큼은 독일 철학자들의 깊이 있는 요약과 정리에서 본질이 드러날 때가 있다. 독일 철학을 무시하는 것은, 세계에서 몇몇 아름다운 쪽 사진들과 브금의 힘을 통해서 나나 하는 일이다. 공자님이 음악의 으뜸은, 교육의 으뜸은 음악을 가르치는 것이라고 했는데, 그것은 프랑스에서도 발설할 수 없고, 독일 철학에서도 과감한 인사이트, 김나지움, 그것의 말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과 무슨 차이인가 하는 것을 두고 아무런 반응을 보일 수가 없다. 왜냐하면, 조용한 혼다의 월광 소나타 같은 투어를, 많은 것을 먹고, 마니교, 행하고 존재를 과시하는 듀카티즘에서는 행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것의 글라우벤. 가장. 한국적인. 믿음의 고통스러운 퉁소 소리. 빌리프는 많이 접근해서, 오토바이를 렌트하는 돈이 렌트 비용 밖에 없는 초나라 신민 같은 것이며, 글라우벤은 상경계의 여장군을 어느 정도 상정하는 주는 강한 산성이시니의 공통된 예수 투사가 엿보이는 어휘이다. 그렇다고, 글라우벤, 다 아름다운 신학 문건을 쓸 수 있다면, 아리스토텔레스 같은 기초 논리학적인 것일지라도, 다 썼게?가 정토종을 결국에는 빼앗긴 독일어에는 있는 것이다. 그것의 조어가 지나치게 딱딱하고, 자기 비하적인 것은, 태공조의 약속일 수도 있고, 해결할 수 없는 자기 경험 때문일 수도 있다. 베엠베 중에 아름다운 오토바이가 바로 에프팔백에스이다. 그것의 헤드라이트처럼 신학적인 영롱함이 다른 것에는 별로 없다. 그리고 거의 모든 특수성은, 그것의 실재성과 함께, 절대성을 배반하게 되어 있다.
*사진은 인터넷에서
'클래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아갈 수 있을까? (0) | 2012.09.07 |
---|---|
서울에는 (0) | 2012.09.06 |
태풍 날에 (0) | 2012.08.27 |
서울의 전깃줄과 바하의 두 대의 바이얼린을 위한 협주곡의 길항관계 (0) | 2012.08.25 |
우중투어에 관한 상상....... 혹은 듀카티즘...... (0) | 2012.08.22 |